오채(五彩) 모란문 반['대명만력년제(大明萬曆年製)'명]

시대1 명시대
시대2 만력(1573-1620)
가마 경덕진요(景德鎭窯)
높이 (cm) 7.1
입지름 (cm) 38.5
중량 (g) 2,300
컬렉션명 아타카컬렉션
크레디트 표기 오사카시립동양도자미술관(스미토모[住友]그룹 기증/ 아타카[安宅] 컬렉션)  사진 : = (각 사진 왼쪽 하단의 촬영자명을 기입할 것)
등록번호 00678
해설 청화백자에 빨강, 초록, 노랑 등의 그림 안료로 무늬를 그리는 오채(五彩)기법은 명시대 선덕기(宣徳期)에는 성립되어 있었으나, 특히 성행한 시기는 가정(嘉靖)과 만력기(萬曆期)입니다. 구연부가 밖으로 외반된 기물의 내저면에는 모란무늬를 그리고, 내측면에는 석류 ,여주 등의 서과(瑞果)를, 외측면에 보상화넝쿨무늬를 배치했습니다. 명나라 초 이래의 문양구성이면서 표현은 이 시기 특유의 번욕(繁縟)이라 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내저면에 가득 채워진 4개의 붉은 모란꽃과 녹색, 푸른 잎의 인상은 선명합니다.
TIFF 이미지 파일* https://1drv.ms/u/s!AiGiuwfOF8uugVhg_rPurMbF4JIQ?e=9D26Es

Page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