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수화(銹花) 모란당초문 병

지정문화재 중요문화재
시대1 금시대
시대2 12세기
가마 정요(定窯)
높이 (cm) 17.0
최대지름 (cm) 19.6
중량 (g) 1,064
컬렉션명 아타카컬렉션
크레디트 표기 오사카시립동양도자미술관(스미토모[住友]그룹 기증/ 아타카[安宅] 컬렉션)  사진 : = (각 사진 왼쪽 하단의 촬영자명을 기입할 것)
등록번호 00581
해설 입이 작은 이른바 ‘매병(梅甁)’의 아래 절반을 잘라낸 듯한 이런 병은 일반적으로 ‘태백준(太白尊)’ 혹은 ‘토로병(吐魯甁)’이라고 불립니다. 백자 태토에 철안료(鐵泥)를 바른 후 문양의 배경 부분을 긁어냈습니다. 결과적으로 철안료에 의한 갈색의 모란당초문이 백자 위에 표현되었습니다. 이러한 기법은 정요백자(定窯白磁)에 자주요(磁州窯)의 장식기법이 응용된 것으로, 정요에서도 희귀한 작품입니다. 유사한 기법으로 금나라의 ‘황통 원년(皇統元年)[1141]置’ 명(銘)의 묵서(墨書)가 새겨진 베개가 중국 국가박물관에 있는 것으로 보아 이 같은 기법은 특히 금시대에 전개된 것으로 보입니다.
TIFF 이미지 파일* https://1drv.ms/u/s!AiGiuwfOF8uugkT_zI3DaZjRaWXH?e=QCCszw

PageTop